목록연세대학교 (9)
노수석열사추모사업회
1995년 연세대학교 법학과에 입학한 노수석 동문은 1996년 3월 29일 대선자금 공개와 교육재정 확보를 위한 집회 현장에서 공권력에 의해 사망했습니다. 2003년 는 노수석 동문을 민주화유공자로 인정하였습니다.노수석장학금은 이 민주화유공자 보상기금으로 만들어졌습니다. ★ 지급대상: 0명 / 각 200만원 ★ 지원자격: 교육 및 다양한 사회문제에 건강한 관심을 가진 연세대학교 재학생※ 휴학생도 신청 가능합니다. ★ 심사일정서류접수: 2018년 1월 15일(목) ~ 1월 26일(금) 자정면접 대상자 발표: 2월 초 (추후 통지)최종면접: 면접 대상자에게 추후 통지 ★ 신청방법자세한 신청 사항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신청 링크: http://bit.ly/노수석장학금신청문의: nosoos..
1995년 연세대학교 법학과에 입학한 노수석 동문은 1996년 3월 29일 대선자금 공개와 교육재정 확보를 위한 집회 현장에서 공권력에 의해 사망했습니다. 2003년 는 노수석 동문을 민주화유공자로 인정하였습니다.노수석장학금은 이 민주화유공자 보상기금으로 만들어졌습니다. ★ 지급대상: 0명 / 각 200만원 ★ 지원자격: 교육 및 다양한 사회문제에 건강한 관심을 가진 연세대학교 재학생※ 휴학생도 신청 가능합니다. ★ 심사일정2017년 1월 19일(목) ~ 2월 1일(수) 서류접수2017년 2월 6일(월) 면접대상자 발표2017년 2월 11일(토) 최종면접 ★ 신청방법자세한 신청 사항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신청 링크: http://bit.ly/노수석장학금문의: nosooseok@gma..
추모사업회가 회원들을 찾아가 이야기를 들어보는 회원 인터뷰, 네번째 순서는 연세대 장애인권동아리 게르니카입니다. ※ 인터뷰 전문 보기: http://nosooseok.tistory.com/24 연세대 장애인권동아리 게르니카는 1996년 설립되어 20년간 학내 장애인권 신장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해왔습니다. 매년 봄 장애인권문화제를 개최하고, 지난 2015년 2학기에는 총학생회 산하 장애인권위원회를 출범시키기도 했습니다. 올해는 노수석열사추모사업회의 노수석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다양하고 활발한 활동을 이어왔다고 하는데요, 노수석 프로젝트를 통해 어떤 활동과 어떤 유의미한 변화를 이끌어 냈는지, 앞으로 노수석 프로젝트를 통해 어떤 활동을 하고 싶은지 들어봅니다. 자세한 인터뷰 내용은 블로그에 자세히 정리되어 ..
추모사업회 김영희 회원(국문 92, 연세대 국문과 교수)이 마주까페에서 진행했던 연세대 항쟁 20주기 기념 전시 . 10월 6일 한겨레 TV에서 진행한 인터뷰 영상입니다. 20년 전 연세대 항쟁의 모습, 전시를 준비한 김영희 회원의 소회를 생생하게 담고 있습니다. 7분 가량의 짧은 영상이니 많은 시청 바랍니다. 아울러 카페마주에서 진행하고 있는 전시는 전시 기간이 한 달 연장되어 10월 30일까지 전시를 진행합니다. 아직 못 가보신 분들은 늦지 않았으니, 많은 관람 부탁드립니다. ※ 연세대 항쟁 20주기 관련하여 추모사업회에서 진행했던 김영희 회원 인터뷰는 이 곳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nosooseok.tistory.com/24 유튜브에서 직접 보기: https://youtu.be/1Tpx..
추모사업회가 회원들을 찾아가 이야기를 들어보는 회원 인터뷰, 세번째 순서는 연세대 국문과 김영희 교수(국문 92)입니다. 김영희 교수는 지난 8월부터 카페 마주에서 연세대 항쟁 20주기 기획전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세대 항쟁도 어느덧 20년이 흘렀습니다. 20년 전의 나, 20년 전 우리는 누구였을까요. 지금껏 이야기되지 못했던 1996년 8월 연세대에서의 그 날을 되짚어 봅니다. 자세한 인터뷰 내용은 블로그에 자세히 정리되어 있습니다. 많은 방문 부탁드립니다. 블로그에서 보기: http://nosooseok.tistory.com/24유튜브에서 보기: https://youtu.be/CQEiKQUpz4g 추모사업회 회원 인터뷰는 한 달마다 정기적으로 진행됩니다. 다음 인터뷰도 기대해주세요! ※ 인터뷰는..
노수석열사추모사업회가 곳곳에서 활동하고 있는 회원들을 찾아가 이야기를 들어보는 회원 인터뷰를 시작합니다. 첫번째 순서는 법무법인 제이앤씨 박병언 변호사 (기계 92) 입니다. 박병언 변호사는 노수석열사추모사업회 이사장을 맡아 주고 계시기도 한데요, 현재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변호인단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지난 6월 27일 여야가 가습기 살균제 피해 국정조사를 실시하기로 합의하는 등, 최근 가습기 살균제 피해 이슈가 다시 수면위로 오르고 있습니다. 박병언 변호사에게 가습기 살균제 사망사건의 쟁점과 문제, 그리고 추모사업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들어봅니다. 자세한 인터뷰 내용이 궁금하신 분은 블로그에 자세히 정리되어 있사오니 많은 방문 부탁드립니다. 블로그에서 보기: http://nosooseok.t..
노수석 열사의 아버님1996년 3월 30일 한겨레1996년 3월 30일 중앙일보 3월 30일 진상규명 및 책임자 처벌요구 집회 잇따라연세대 내 곳곳에 노수석 열사를 추모하는 분향소가 설치되었고, 열사의 사망에 대한 각계각층의 입장이 발표되었다. ■ 한총련 기자회견 오전 10시30분 한총련은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사건은 총선을 앞두고 청년학도들의 투쟁의지를 꺾으려는 김영삼 정부의 폭력진압이 낳은 필연적 결과”라고 주장했다. 한총련은 “여러 가지 정황이나 시위에 참여했던 학생들의 증언을 토대로 볼 때 경찰의 과잉진압에 의해 살해된 것”이라며 대통령의 공개사과와 경찰청장 등 현장 책임자의 즉각적인 처벌을 촉구했다.한총련 기자회견 및 연세대 학생회관에 설치된 노수석 열사 추모 분향소■ 학교 당국 성명서 발표학..
96년 초에서 3월 전까지■ 연세대, 재단의 어려움 이유로 등록금 16.38 % 인상연세대학교는 “연세우유 파동으로 재단의 재정상태가 현저하게 악화된 현재 상황에서, 대학원 중점대학 설립 대응자금과 소급 퇴직금 지급에 따른 지출액을 재단전입금만으로 부담하기는 어려운 현실”이라며 “재학생 평균 16.38 %의 등록금 인상은 불가피하다”며 등록금 인상 방침을 밝혔다.■ 1월 18일 연세대·고려대 총학생회 성명서 발표 고려대와 연세대 총학생회는 사립대 등록금 인상반대와 정부의 교육재정 확보를 촉구하는 공동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5·31 교육개혁 등 정부의 교육정책은 교육의 세계화와 대학의 경쟁력 제고에만 치우쳐 이에 따른 재정부담을 큰 폭의 등록금 인상을 통해 학생 및 학부모에게 전가하려 하고 있다”고 ..
1976년 11월 23일, 빛고을 광주에서 노수석은 아버지 노봉구, 어머니 기정애씨의 2남 2녀(큰누나 은경, 작은누나 경민, 남동생 수만) 중 큰아들로 태어났다. 호기심 어린 눈망울로 세상을 만나던 시절, 그는 해맑은 미소가 이쁜 아이였다. 누나와 놀이공원에서 회전목마도 타고, 피아노도 배우고, 집 앞마당에서 동생과 사진도 찍었다.누나와 함께초등학교 시절(1989년 2월 광주 장원초등학교 졸업), 그는 온순하고 부모님 말씀 잘 듣는 의젓한 학생이었다. 착하고 온순한 아들이, 그렇게 빨리 부모 곁을 떠날 줄은 아무도 몰랐다.동생과 함께 빛고을에서 하나씩 둘씩 꿈을 키워가던 중고등학교 시절. 그는 착하고 건강한 아들이었다. (1992년 2월 조선대학교 부속중학교 졸업, 1995년 2월 광주 대동고등학교 졸..